로고

연구보고서
과제유형 설명
기본과제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협약) 사업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기획과제 인구감소 위기에 대응한 유형별 발전전략 연구
  • 부서명
  • 지역개발연구부
  • 발행일
  • 2020
  • 연구책임
  • 이성재
  • 연구진
  • 임승현 한국환 김수용
목차보기
목차보기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제2장 이론적 논의
1. 인구정책의 개념 및 전개
2. 인구감소와 지역발전 논의
3.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정책 이슈
제3장 인구대응 관련 정책 분석
1. 해외 인구 대응 관련 정책
2. 국내 인구대응 관련 정책
3. 전북 인구대응 정책
제4장 인구증감 유형별 실태분석
1. 전라북도 인구 전망 및 위기 실태
2. 인구증감 유형분류
3. 유형별 인구특성 분석
4. 인구 감소 대응 과제
제5장 인구감소 대응 방향 및 전략
1. 인구감소 대응 방향
2. 자연감소 대응 전략
3. 사회감소 대응 전략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닫기
PDF DOWNLOAD
주요내용

● 연구 배경 및 목적

○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미만('19년 0.92명)인 유일한 국가이자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등 저출산 ·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인구감소 위기가 주요 이슈로 부각됨

○ 인구구조 측면에서는 저출산 현상이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유소년 인구가 감소하고, 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고령인구는 증가할 전망임

○ 전라북도는 '15년 기준 마을가구 20호 미만에 해당하는 과소화마을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10.0%로 나타나고 있어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공동체 위기 등이 주요 이수로 부각되고 있음

○ 또한 가임여성 축소 및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역공동체 붕괴, 지방소멸 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음

○ 저출산 및 고령화, 인구유출 등 인구감소 위기에 대응하여 각 자치단체별로 각종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정책 및 시책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인구증감에 대한 공간적 분석 단위 및 요인 분석에 대한 거시적 접근으로 세밀한 정책수립에 한계가 발생하고 있음

○ 인구감소 위기에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분석 단위를 읍면 단위로 세분화시키고 인구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저출산 및 고령화, 인구유출 등으로 인구감소 위기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라북도 읍면 단위의 인구증감에 대한 자연적 · 사회적 요인 등을 분석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발전전략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관리 코드 : 19GI07 

조회수 7380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