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슈브리핑
기본과제 전북형 농산어촌 생활물류서비스 육성방안 제안
  • 부서명
  • 산업경제연구부
  • 발행일
  • 2022.05.18
  • 연구책임
  • 나정호
  • 연구진
  • 나정호
목차보기
목차보기
1. 생활물류 혁신을 통한 농산어촌 지역소멸 대응전략
2. 전라북도 농산어촌 마을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물류기술 도입
3. 전북형 농산어촌 생활물류서비스 구상
4. 디지털물류시대의 전라북도 대응전략
닫기
PDF DOWNLOAD
265
주요내용

○ 2020년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비대면 거래 증가 등 변화가 가속됨.

○ ​사회적거리두기가 점차 완화되고 있지만, 2022년 현재 3년째 적용되고 있으며, 점차 사회적거리두기, 비대면 거래, 플랫폼 사회에 적응하고 있음.

○ ​비대면 거래의 완성은 생활물류서비스가 담당하는데 국내 택배물동량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며, 특히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 약 21% 급증하였음.

○ ​코로나19는 정보통신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플랫폼 사회 전환속도를 가속화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방역조치가 해제되더라도 유지 또는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됨.

​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 음료 등의 배달대행 서비스가 폭증하면서 배달앱 수수료, 배달종사자 처우문제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됨.

​ 생활물류서비스는 다양한 소비자 편의를 높이고, 제조업체,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에 기여하며, 시간과 공간효용을 극대화함.

​ 지자체, 농축수협 등이 지역 농림어업 종사자의 판로확대 지원을 위하여 계약택배, 생활물류서비스 지원정책을 추진하지만, 근본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음.

​ 농산어촌마을은 거주지 특성상 가구당 인구수가 적고, 가구간 거리가 있으므로 도심지역 아파트단지에 비해 택배종사자의 업무가중, 안전사고 위험도가 높음.

​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한계점 보완과 병행하여 로컬의 가치를 새롭게 정의하고, 첨단기술, 지역민과 함께 장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농산어촌에 있는 공유시설과 거주자 인식 개선을 통해 플랫폼 기반의 생활물류 개선, 마을 특산물 전자상거래 판매를 촉진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로컬크리에이터의 유입과 참여를 통한 공간혁신으로 지역소멸에 대응할 수 있음.

 

 

조회수 3210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