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이슈브리핑
Jeonbuk State Institute
‘농촌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전략과 과제
  • 부서명
  • 생명경제정책실
  • 발행일
  • 2025.5.7
  • 연구책임
  • 황영모
  • 연구진
  • 정호중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요약
1. 우리 사회 '회복력'의 원천, 농업·농촌이 실체이다
2. 농촌사회의 현실, 영농의 불리함과 생활여건의 열악
3. 농촌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지역사회 실천전략 구상
4. (전략 1) 농민기본소득: 농업 공익적 기능 생산 '담당자' 보상
5. (전략 2) 농촌기본소득: 농촌지역 '지킴이' 역할에 대한 보상
6. (전략 3) 농촌생활돌봄: 불리한 생활 여건에 대한 최소 돌봄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321
주요내용

농촌지역부터 기본사회를 실현해야 하는 이유

○ 농촌지역·농촌사회는 개발과 성장 과정에서 자원동원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경제적·사회적 격차가 커져 ‘영농의 불리함, 생활의 불편함’ 등으로 이른바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음

○ 농촌지역을 유지하고 지켜야 하는 이유는 ‘국토의 균형발전, 사회의 지속발전, 주민의 기본권’ 등의 관점에서 찾을 수 있는데, 정책적으로는 ‘재정 제약, 정책 효율성’ 등을 이유로 ‘현상 유지나 관리 대상’에 지나치고 있다는 비판이 높음

○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높아진 복합위기 상황에서 우리 사회 회복력의 원천으로 농업과 농촌에 주목하여 농촌사회에서부터 ‘기본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수단을 제안함

농촌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지역사회 3대 실천전략

○ ‘기본사회’는 기본소득과 기본서비스를 결합하여 삶의 불안을 덜고, 불평등을 해소하며, 자유로운 삶을 설계할 수 있는 사회를 뜻하는데, 기본사회로의 대전환이 시대적 요청이 되고 있음

○ 분야·세대·계층·지역을 종합할 때 ‘기본사회’의 시작은 ‘농촌지역’이 우선으로 판단되는데,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기반이 된 곳, 균형발전과 멀어지는 가장 아픈 곳, 불리함을 당연시하고 살아가는 곳’, 이른바 ‘지방소멸 위기’가 현실화된 곳인 ‘농촌사회’부터 시작해야 함

① 농민은 농사만으로는 살 수 없다 →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생산하는 농민에 대한 보상과 지원 → “농민기본소득” (기존 정책 강화)

- 농업의 다원적 기능은 농산물과 결합해 생산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데, 농업생산 이외 다른 방법으로 공급하면 비효율적이므로 공익적 기능 생산에 대한 농민 보상이 필요

② 농촌에는 여러 주민이 살고 있다 → 과소화 농촌지역을 지키며 사는 주민에 대한 보상과 지원 → “농촌기본소득” (신규 사업 도입)

- 농촌주민은 열악한 사회적·경제적 여건에서 ‘지역 지킴이’로 역할을 하고 있어 일정 수준의 인구·지역 유지를 위해서 모든 주민에게 ‘보편적 소득 또는 생활여건 지원’ 지원 필요

③ 농촌 일상 생활이 가능해야 한다 → 불리한 생활 여건에서 필요한 생활돌봄 제공 주체의 육성 → “농촌생활돌봄” (기존 정책 확대)

- 대다수 농촌주민은 일상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개인이 쉽게 해결할 수 없는 ‘농촌생활돌봄’의 필요가 높아, 사회복지 방식의 공적부조와 다른 생활돌봄 정책지원이 필요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