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본과제 전라북도 산업인력 수급전망
  • 부서명
  • 지역발전정책연구소
  • 발행일
  • 2006
  • 연구책임
  • .
  • 연구진
  • .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주요내용

전라북도 산업인력 수급전망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노동시장의 수급 상황의 변화를 예측하는 목적은 노동시장뿐 아니라 교육서비스시장에서 미래 노동시장의 수요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서비스시장 참여자들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함이며, 보다 효율적인 인적자원 투자를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 개인과 사회 및 경제 전체의 효율성을 달성하는 데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인력수급 전망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실정에 적합한 예측방법 및 세분화된 기초통계 인프라의 구축 미비로 인한 예측상의 한계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고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각 정부 부처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방자치 또한 이런 국가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지역의 인력수급 실태분석과 인력수급 예측을 실행할 필요성이 대두됨
○ 인력수급시장은 실물가격시장과는 다르게 수요와 공급이 균형에서 이탈하여 다시 균형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장기적이어서 결국, 단기적인 정책은 인력수급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를 낳으며 수요시장과 공급시장의 불일치하는 시차(timelag)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구조적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별 인력수급에 관한 설문조사 형식보다는 통계청의 기초자료와 시계열적인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하여 가능한 1차자료의 활용범위 내에서 산업별 인적자원의 수급 전망을 하고자 하였음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별, 직업별 인력수급 전망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력의 중장기 수요공급을 계량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및 노동수급 정책 수립과 집행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도구를 제시하는데 있음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내용 
2. 연구 방법 

제2장  국내외 인력수급전망 연구 
제1절 국내 인력수급전망연구 동향 
제2절 선진국의 인력 수급 모형 분석 
1. 미국 노동통계국(BLS)의 인력수급 전망 모형 
2. 캐나다 COPS 인적자원 수급예측모형 
3. 영국 고용연구원의 인력수급전망 
4. 네덜란드 ROA 인적자원 수급 예측모형 
5. 일본 노동성(고용정책연구회)의 노동력 수급전망 
제3절 전북 인력수급전망 모형 
1. 인력수급전망 방법론 
2. 산업ㆍ직업분류 및 DATA 

제3장  노동수요 및 공급 현황 
제1절 노동수요 개관 
제2절 노동공급 개관 
1. 생산가능인구 
2. 경제활동인구 
3. 경제활동참가율 

제4장  중장기 산업별 성장 전망 
제1절 산업별 부가가치 추이 
제2절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1. 산업별 부가가치 추세 
2. 추세모형을 이용한 전망 
3. ARIMA모형을 이용한 전망 

제5장  노동수요와 공급 전망 
제1절 노동수요전망 
1. 산업별 취업계수 전망
2. 산업별 노동수요전망 
제2절 노동공급전망 
1. 생산가능인구전망 
2. 경제활동참가율전망 
3. 경제활동인구전망 

제6장  결론 및 정책과제 
제1절 전망요약 
제2절 정책과제 

참고문헌 
부록
 

 

 

 

2006-R-06.pdf

첨부파일
2006-R-06.pdf  조회수 : 15340    다운로드 수 : 2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