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정책브리프
Jeonbuk State Institute
지역발전, 이제는 산촌이다 :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
  • 부서명
  • 산업경제연구부
  • 발행일
  • 2017.5.19
  • 연구진
  • 이성재 이민수 한국환
  • 연구분야
  • 생태마을 산림자원 산촌개발 산촌정책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01. 들어가며
02. 산촌정책 및 산촌생태마을 현황
03.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 현황
04.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 유형 및 특성
05.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16
주요내용

지역발전, 이제는 산촌이다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

 

○ 산림자원의 가치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 및 활용수요 증가에 따라 정부에서는 산촌개발사업과 관련된 제도적 정비와 함께 2008년부터 300개 이상의 산촌생태마을 조성

 

○ 전북은 2016년까지 11개 시군에 총 52개소의 산촌생태마을을 조성하여 농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생산 및 가공시설 확충, 체험관광 기반시설을 조성하였음

  - 산촌생태마을에 거주하는 귀농귀촌가구는 288가구(508명)이며, 33개의 숙박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마을당 연간 방문객수는 약 3,800여명에 이름

 

○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의 주요시설, 소득원 구조 등을 고려한 유형은 생활환경개선형, 단순소득형, 자립기반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생활환경개선형(12개마을) : 공동 소득원이 부재하며, 정주환경개선 사업이 완료된 마을

  - 단순소득형(24개마을) : 2차가공 또는 숙박 및 체험 등으로 소득을 창출하고 있는 마을

  - 자립기반형(16개마을) : 농림소득과 숙박 및 체험 등 농외 소득원 구조가 다양한 마을

 

○ 산촌생태마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문은 크게 농림소득, 관광, 운영관리 측면임

  - 농림소득 : 생산단지의 활용 및 품목의 가공 미흡, 가공공장 가동률 저조, 판로개척 한계

  - 관광 : 방문객 유형 획일화, 숙박시설의 계절적 한계, 체험콘텐츠 부족, 도산촌 교류 미흡

  - 운영관리 : 시설물 노후화, 공동시설물 활용 저조, 유지관리 부담, 마을 전담인력 부족

 

○ 전라북도 산촌생태마을 활성화를 위해 농림소득 증대, 관광진흥, 운영관리 효율화를 목표로 설정하고,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9대 전략, 18개 추진과제를 제시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