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보도자료
Jeonbuk State Institute

제목

[이슈브리핑] 농어촌 ‘식품사막화’… “남 일 아닌 우리 곁 현안 됐다”
  • 2024-09-04
  • 조회 57

본문 내용

농어촌 ‘식품사막화’… “남 일 아닌 우리 곁 현안 됐다”


○ 전북 행정리의 83.6% 식료품 살 수 있는 마을 점포 실종, 건강통계 열악

○ 전북연구원-식품사막지도, 협동조합 식료품점, 식료품 바구니 정책, 식품사막화 지수 등 제안


○ 전북 도내 농어촌지역의 식품사막화가 확연해 지면서 농어촌주민들의 건강권과 먹거리 기본권 보장 등 삶의 질을 유지시키는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사막’이란 용어는 1990년대 초반 스코틀랜드 서부에서 도입된 용어로 신선하고 건강한 식품을 구매하기 어려운 지역을 지칭한다.

○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 4일 ‘농촌지역 식품사막화(Food Desert)의 의미와 과제’를 다룬 이슈브리핑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전북특별자치도 식품사막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선제적인 정책적 논의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전북연구원은 지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북자치도내 행정리(5,245개) 중 83.6%가 마을에서 식료품을 살 수 있는 점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식품소비행태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농어촌 가구는 오프라인 식료품점을 주 1회 이상 방문하는 가구가 전체 가구 중 78.6%로, 85.9%인 도시보다 낮았다.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하지 않는 농어촌의 가구는 전체 중 59.0%로 31.8%인 도시보다 커 식품접근성이 크게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농어촌의 인구감소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소매점이 없는 농촌 마을의 증가는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 전북연구원은 인구감소와 더불어 열악한 대중교통 시스템, 농어촌사회의 네트워크 약화, 대형 유통업체의 부재,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 공급의 불안정성 등도 식품 접근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실제 국민건강통계를 보면 농촌 주민의 과일류, 육류, 우유류 등의 섭취량이 도시민에 비교해 낮았으며, 농촌의 영양섭취부족자 비율이 두드러져 있는 실정이다.

○ 전북연구원은 식품사막화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식품사막 지도를 제작해 관리해야 하며, 협동조합 식료품점 개설, 식료품 바구니 정책, 식품사막화 지수 등을 제안했다.

○ 행정리의 식료품 소매점의 현황을 정기적으로 파악해 식품 및 생필품 유통시스템을 개선시키면서 주민의 건강관리, 영양교육, 생활돌봄 등을 위한 정책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해 식품사막화와 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협동조합 식료품점을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이동식 점포 또는 상시 매장으로 운영하는 정책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촌 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협동조합 식료품점은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취약계층에게 복지·생활서비스 공급하여 지역의 삶의 질 증진과 연대감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북연구원은 강조하였다.

○ 이와 함께 경제적, 사회적으로 취약계층인 노인을 위해 권장영양 섭취량을 고려한 식단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어르신 식료품 바구니 상품권’을 제공하고 이를 식료품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 특히 농촌형 식품 물류·유통시스템인 중앙 물류 허브센터를 구축해서 소비자 또는 대리인(보호자, 장기요양보호사, 방문간호사, 이웃 등)이 식료품을 주문하면 소비자에게 보내주거나 센터 또는 마을 거점 수령지(마을회관, 보건소, 면사무소 등)에 보내주는 대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촌형 식품 물류·유통시스템은 소비자 주문 대리인과 식료품 배달자를 활용한 취약계층의 생활돌봄 채널로 가능하다고 밝혔다.

○ 마지막으로, 정기적으로 지역별로 농촌 주민의 식품 접근성 현황을 정량적으로 수집·관리하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식품사막화 지수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 조원지 책임연구위원은 “농촌지역의 ‘식품사막’은 개인이 섭취할 수 있도록 생산된 모든 음식물이 없는 지역을 의미하기보다 개인이 식품을 쉽게 구입 가능한지를 의미하고 있다”면서 “식품 접근성 문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 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