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이슈브리핑
Jeonbuk State Institute
전라북도 복지재정 쟁점 및 대안
  • 부서명
  • 사회문화연구부
  • 발행일
  • 2023.10.
  • 연구책임
  • 이중섭
  • 연구진
  • 이중섭, 장세길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1. 현황 및 문제점
2. 전라북도 복지재정 현황 진단
3. 정책방향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288
주요내용

○ 전라북도의 복지재정은 대부분 중앙정부의 계획 하에서 추진되는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어 지역의 자율성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2022년 기준 복지분야의 보조사업 비율은 89.85%이고 자체사업은 9.41%로 복지사업의 대부분은 지역의 재정자율성이 없는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최근에는 복지수요의 증가에 따른 복지예산의 확대로 대응 지방비도 크게 증가하고 있어 지역의 재정적 부담도 확대되고 있다. 전라북도는 2022년 기준 복지재정 총액에서 시도비의 부담액은 전체 자주재원의 34.15%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브리핑에서는 국고보조사업 중심의 복지사업의 재정구조를 지역의 재정상황에 맞게 재설계하여 고령화로 복지수요는 높지만 재정여건이 어려운 전라북도의 재정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고보조사업의 개선방안으로 ▲ 지역격차를 반영한 차등보조율 적용사업 확대, ▲ 차등보조율 지원체계 세분화,  ▲ 국고보조금 보조율의 일관적 원칙 설정,  ▲ 유사목적 사업의 포괄보조제 전환 ▲ 복지분야 재정배분 기준 전북특례 시범적용 등 5가지 전라북도 정책방향을 제안했다.

 지역의 재정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동일보조율 복지사업에 대해서는 지역격차를 반영한 차등보조로 확대해야 한다. 현행 사회복지분야 차등보조율 적용사업은 18개 사업으로 총 274 사업의 6.5%에 불과해 차등보조율 적용 확대를 통한 지방정부 재정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현행 차등보조율 지원체계도 세분화하여 지역별 재정격차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전라북도에 가장 많은 재정적 부담을 주는 기초연금은 차등보조기준인 재정자주도의 기준도 현행 80%미만을 최소기준에서 다수 지자체가 포함된 60%까지 세분화하고 국고보조기준을 확대해야 한다.

 특별한 원칙이 없이 설정된 현행 국고보조금의 보조율 지원체계를 복지사업의 목적과 대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관적 원칙을 설정해야 한다. 복지분야 국고보조사업의 재정분담체계는 ‘형평성’과 ‘효율성’, ‘적정성’을 기준으로 국가와 지방의 역할을 세분화하고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모든 지역이 겪고 있는 보편적 문제에 대한 복지사업 만큼은 전액 국고보조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 같은 국고보조사업 재정배분 기준을 적용하여 재정부담이 큰 5대 국고보조사업(기초연금, 보육료지원, 생계급여, 노인일자리, 아동수당)을 국가책임으로 전환하면 전라북도의 경우 최대 2,400억원의 세수 유입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된다.

 국고보조사업의 재정운용 경직성 해소를 위해 유사목적 사업에 대해서는 포괄보조로 전환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운용의 자율성 강화가 필요하다. 유사 목적사업에 대해서는 포괄보조 사업으로 전환하여 특정사업의 불용액 발생 시 유사사업으로의 예산 전용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첨부파일
이슈브리핑_288호_전라북도 복지재정 쟁점 및 대안.pdf  조회수 : 1105    다운로드 수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