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REN
SITEMAP
전북연구원
전북경제동향
Right innovation, Right path, New Jeonbuk
전북경제동향 2018년도 1분기
  • 부서명
  • 창조경제산업연구부
  • 발행년도
  • 2018
  • 연구책임
  • 이강진
  • Member
  • 이강진, 김영윤
key word 새창으로보기
key word 새창으로보기
Ⅰ. 경제동향

❑ 전북의 주요 경제 지표 3

❑ 전북 경제 동향(요약) 5

Ⅱ. 분야별 지표

1. 경기
1) 경기동행지수 17
2) 제조업 재고출하 순환 19
3) 기업경기실사지수(BSI) 20
4) 소비자동향지수(CSI) 21
5) 전력소비 22
6) 소상공인 경기동향 실적 23
7)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 24
8) 소비자동향지수(CSI) 전망 25
9) 소상공인 경기동향지수 전망 26

2. 생산 및 수요
2-1. 생산
1) 제조업 28
2-2. 수요
1) 소비
1-1) 대형소매점판매 31
1-2) 재래시장 매출 BSI 32
1-3) 승용차 신규 등록대수 32
2) 투자
2-1) 건설투자 33
2-2) 설비투자 34

3. 수출입
1) 수출입 총괄 36
2) 품목별, 국가별 수출 37
3) 품목별, 국가별 수입 38





4. 고용
1) 고용사정 39
2) 취업자 수 40
3) 인력사정 BSI 42

5. 물가
1) 소비자물가(CPI) 43
2) 부동산 가격 및 거래 45
3) 미분양주택 48

6. 자금사정
1) 어음부도율 49
2) 예금은행 예대율 및 대출금 연체율 50
3) 금융기관 여수신 51

7. 산업단지
1) 산업단지 현황 53
2) 산업단지 생산 54
3) 산업단지 수출 55
4) 산업단지 고용 56
5) 산업단지 가동률 57

8. 주요산업
1) 자동차 58
2) 항만 62

Ⅲ. 경제지표(통계)/67


Ⅳ. 지역경제일지/103
close
PDF DOWNLOAD 다운로드
3월호
Content

<정책적 시사점>
 ⇒기저효과로 인해 제조업 분야 고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향후 고용시장 악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제조업 뿐 아니라 자영업자 및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분야의 고용안정 정책 발굴 필요
   -EU 경제가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통상압력은 한, 중, 일 모두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미국의 나홀로 호황을 한국이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 고착되어 감, 중국 또한 통상압력으로 국내외 경기가 약화되어 중국을 대상으로 수출하는 한국은 더 어려움에 쳐해져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전북의 수출 및 경기회복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전북은 기타정밀화학원료, 기타석유화학제품 중심으로 수출회복세를 보여 '18년 1분기 무역수지 흑자금액(4.90억불)이 소폭 증가(전년동기비 +0.14억불)하는 등 기저효과로 인해 실물분야 회복세를 보임
 ⇒전북도는 GM군산공장의 폐쇄가 임박함에 따라 1,2차 하청업체들의 경영악화로 인한 부도를 막는데 최선을 다하고 직원들의 재취업을 위한 방안 마련에 우선 노력을 기울여야 함


❑고용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약세가 계속되었으나 제조업과 전기운수통신금융업 등의 증가로 전체 취업자수는 전년동분기비 2만2천명(2.6%p) 증가
   -전북의 고용은 제조업과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의 주도로 고용시장은 강세를 보임. '18년 1분기에는 도소매숙박음식점업(-6.1%; 1만1천명)이 감소했으나 전기운수통신금융업(전년동분기비 +7.1% ; 6천명), 제조업(전년동분기비 +15.9%; 1만8천명)이 증가하며 고용시장이 호조세를 보임
   -임금근로자수는 6.9%(3만8천명)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상용근로자는 4.1%(1만5천명), 일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36.9%(1만5천명), 5.8%(9천명) 증가함
   -비임금근로자는 5.6%(1만7천명) 감소하였으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가족 종사자 모두 (각각 8천명, 8천명, 1천명) 감소
 ⇒기저효과로 인해 제조업 분야 고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향후 고용시장 악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제조업 뿐 아니라 자영업자 및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분야의 고용안정 정책 발굴 필요​

 

위로가기